분류 전체보기
🍃 Spring Boot로 개발한 Restful API 작동 프로세스
MVC 패턴이란? Controller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음. (처리 과정을 담당) Model은 최종 페이지에 쓰일 데이터를 뷰에 전달한다. (데이터를 담당) View는 최종 페이지를 만들어준다. 이렇게 각자의 역할을 나누는 기법을 MVC 패턴이라고 한다. 스프링 부트의 로직 Controller : 웹 브라우저의 요청 전담하여 처리, Service 호출 → Provider/ Service: 비즈니스 로직(아이디 중복검사,비밀번호 재검사, validation...)을 수행하며,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DAO를 이용해 결과값을 받아옴. Provider : Read와 관련된 곳으로, DB에서 select해서 얻어온 값을 가공해서 결과로 추출한다. Service : Create, Update, Delet..
REST API, 알고 사용하자!
📘 REST API의 정의 우선, REST가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알고 가도록 하자.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이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자원 (Resource) : URI 행위 (Verb) : HTTP Method 표현 (Representations) -> 따라서 REST API는 URI를 통해서 자원을 나타내고, HTTP Method를 이용해 해당 자원의 행위를 규정하여 그 결과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REST의 특징 Uniform Interface URI로 지정한 리소스에 대한 조작을 통일되고 한정적인 인터페이스로 수행하는 스타일을 말한다. Stateless REST는 무상태성 성격을 갖고, 작업을 위한 상태정보를 따로 저장하거나 관리하지 않..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모델링
- 논리적 설계 현실 세계의 자료를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도록 특정 DBMS가 지원하는 논리적 자료 구조로 변환한다. 개념 세계의 데이터를 필드로 기술한 데이터타입과 이 데이터타입들 간의 관계로 표현되는 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모델화한다. 개념적 설계에서는 개념 스키마를 설계했다면,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목표 DMBS에 맞는 스키마를 설계하게 돈된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라면 테이블, Relation을 설계하는 단계라고 볼 수 있다. - Relation이란?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는 앞서 설계했던 ER 모델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구현할 수 있도록 DB 구조를 정의해야 한다. 따라서 ER 다이어그램을 일련의 과정에 따라서 릴레이션으로 변경하게 된다. Rel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