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Amazon RDS 데이터베이스 구축(MySQL)
🌟Goal : RDS DB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한국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인코딩/타임존을 설정한다. 또한 EC2 서버와 RDS DB를 연동하고, MySQL workbench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 해보자. #RDS DB의 사용 목적은? AWS EC2 내에 자체 DB를 구축해도 문제는 없으나, 만약 인스턴스에 문제가 생기면 DB에도 접근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DB 서버와 기본 서버를 분리해서 관리하면 확장성, 보안, 편리성등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RDS 인스턴스 생성 표준 생성으로 여러가지 설정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프리티어를 설정해주는 것! db name, 사용자 이름 등은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으니 암호만 따로 지정해주자. 인스턴스 클래스, 스토리지 등은 프리티어에서는 ..
ERD, 어떻게 설계하는 걸까?
🧐 What is ERD? 우선, ERD가 무엇인지 부터 짚고 넘어가자. ERD란 Entity Relationship Diagram의 약어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한눈에 알아보기 위해서 쓰인다. DB를 개발하기 전에 보다 많은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데이터 모델링을 실시한다. 쿼리문을 작성할 때 테이블들이 구조화된 다이어그램을 보면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데이터의 다양한 특징을 확인할 수 있어 요구사항을 그에 맞게 개발할 수 있다. ERD의 핵심은 세 가지 이다. "Entity" 와 "Relationship", 그리고 "Attribute"이다. 각 용어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살펴보자. #Entity(개체) Entity는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의 실체이며, 사람, 객체 ..
AWS EC2 서버에 도메인/HTTPS/Redirection 적용
🌟Goal : 도메인을 구입하여 EC2 서버에 연결하고, HTTPS, 서브도메인, Redirection까지 적용해보자. - 도메인 적용 : 가비아에서 1년짜리 도메인을 하나 구입해보였다. 원하는 도메인을 아무거나 구입하면 됨. 📌 서버와 도메인을 연결하려면? : 파일과 시스템을 매핑하는 DNS 레코드를 통해 특정 도메인이 연결하려는 서버를 DNS 서버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 관련 개념 정리 DNS 서버 : IP 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이어주는 환경/시스템이다. 호스트 :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 또는 서버들에 부여되는 고유한 이름으로 기계적인 주소 대신 일반인이 읽고 이해하기 쉬운 이름으로 만들어진다. TTL : Time to live -> IP 패킷의 생존 시간 (IP 패킷이 라우팅 되며 거쳐야할 라우터..